menu

우표류 컨텐츠 타이틀 이미지

우표문화센터

우편서비스 > 우표류 > 우표문화센터 > 우표역사 > 우리나라의 우정연혁

우리나라의 우정연혁

  • 487년
    신라 소지왕 9년 국가공문서의 송달을 위해 사방에 우역(郵驛)을 설치
  • 1149년
    고려 예종 3년 봉수제도 설치
  • 1274년
    고려 원종 15년 마패제도를 설치
  • 1597년
    조선 선조 30년 우역제도를 통신만을 위주로 하는 파발 제도를 창설
  • 1884년
    • 조선 고종 30년 우편제도의 설치를 왕의 칙명으로 내림
    • 우정총국 창설(4월 22일)
    • 우리나라 최초의 우표 탄생(11월 18일)
    • 갑신정변 실패로 우정총국 폐쇄(갑신정변:12월 6일)
  • 1886년
    농상공부 통신국으로 우편업무 재개
  • 1900년
    • 농상공부 통신국 통신원으로 독립
    • 조선 광무 4년 만국우편연합 기구(UPU)참가
  • 1905년
    조선 광무 9년 한일통신 강탈체결과 한일강제병합으로 사실상 폐쇄
  • 1968년
    1면 1국의 우체국을 설치하고 매일 배달제를 실시
  • 1984년
    우정100년 기념 필라코리아 개최(143개국 참가)
  • 1985년
    임시 우정박물관 개관(서울중앙우체국 4층)
  • 1988년
    6자리 우편번호제 실시
  • 1990년
    서울 우편집중국 개국
  • 1994년
    • 우정110년 기념 필라코리아 개최
    • 제21차 만국우편총회
  • 1995년
    체신부를 정보통신부로 개칭
  • 1996년
    동서울 우편집중국
  • 1997년
    남북우편물 교류 재개(신포지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