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한국전쟁으로 수 많은 한국인과 공산군이 납치되거나 교전 중에 포로가 됨으로써 포로우편물을 취급하게 되어 대한민국 통치권이 미치는 지역으로 송달되는 우편물만이라도 우선취급키로 하여 1951년5월22일부터 포로우편을 실시하였는데 이는 임시적 조치에 불과하며, 그 후 남북간에 우편물 교환 협정이 체결되어 1952년 1월19일최초로 포로우편물이 교환되었다. 포로우편취급규정은 1952년2월20일에 제정되었다.
이 포로우편물은 영천 포로수용소(Camp #3)에 있었던 반공포로가 1952년 6월 28일에 보낸 우편물이다.
5.터키군은 용감하기로 유명한데 육군1개여단(보병,포병)을 한국전쟁때 파병하였으며, 한국전쟁 중 치른 격전으로 군우리 전투(1950년),금량장전투(1951년), 네바다전투(1953년)등을 꼽을 수 있다.
중공군의 개입으로 1.4후퇴를 하던 중 프레트 대위는 한 소녀(최만자 양)가 부모를 잃고 길을 헤매이고 잇는 것을 발견하고 가족의 품으로 돌아갈 때까지 돌보아준 이 아름다운 이야기는 당시의 터키 신문과 라이프 잡지에 크게 보도된 바 있었다. 휴전협정 후 1954년6월19일을 마지막으로 프레트 대위와 소식이 끊긴 최민자 양은 그 뒤 고려대학을 졸업하였다. 이 터키우표는 1952년9월25일 발행한 것으로 도안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그림]
- 1. 15k 배경의 산은 터키여단이 최초로 거둔 승리의 군우리 격전지.
- 2. 20k 터키 국가를 배경으로 한국의 전형적인 소나무가 그려져 있음.
- 3. 30k 인자한 표정을 한 프레트 대위가 오른쪽 어깨에 한국의 소녀 최민자 양을 앉히고, '헬리'라는
만화를 함께 즐기고 있는 모습 - 4 .60k 터키 여단의 두번째 승리를 거둔 경기도 금량장인것으로 보임
- 1
- 2
- 3
- 4
6.덴마크는 한국전쟁시 적십자사를 통해 의료진과 병원선1척 -선명S.S.Jutlandia호-을 보내왔다. 이 우표는 이를 기념하기 위한것이 아니라 적십자가 기금을 마련하기위한 부가금 우표로서 1951년9월13일에 발행되었다.
7.뉴질랜드는 육군 1개 야포연대와 해군 프리게이트 2척을 파병하여 한국전쟁중 41명이 전사하였다. 1984년11월7일에 발행된 뉴질랜드군역사 기념우표중 한국전쟁에서 활약한 야포부대를 나타내고 있다.
- miscel.com 우취도서관 자료인용(참고자료 : 대한결핵협회 전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