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
콜롬비아는 육군 1개 보병대대, 해군 프리게이트 1척을 파견하여 214명의 전사자를 낸 우리의 혈맹국이다. 콜롬비아에서는 한국전쟁 참전과 승리를 기념하기 위하여 1955년과 1972년에 우표를 발행한 바있었다. 낙동강에 임시가교를 만들고 있는 콜롬비아 병사들을 도안으로 하고 있는데 배경이 전형적인 우리 나라의 산임을 알 수 있다.
13.벨기에, 네덜란드와 더불어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는 파견된 909명의 공군들을 위하여 무료 군사항공서간을 발행하였는데 관제항공서간에 "Free Forces Mail"과 "Posvry Vanaf Magte"라는 문구를 가쇄한 것으로서 1950년 12월3일(1종), 1951년5월15일(2종),8월23일(2종), 1952년7월31일(1종) 등 총 6종으로 분류되며, 총 발행량은 86,400장이다.
14.1950년10월1일 연합국이 38선을 돌파한 후 25일 압록강에 도달하여 이 땅에 공산주의를 몰아내고 통일이 눈앞에 다가왔다는 희망에 차있던 그날 중공군이 압록강을 도강하여 한국전쟁에 참전하게 됨으로써 희망은 한으로 변하고 말았다. 그로부터 약 50년이 지난 오늘 중국은 자본주의 사회로 탈바꿈하였고, 우리나라와는 어쩔 수 없이 경제동반자로 수교하게 되었으니 국제사회의 질서변화로 천만 이산가족의 한은 이제 역사의 뒤안길로 파묻혀 버리고 말았다.
15.미국에서는 20세기를 마감하고 새로운 세기를 맞이하면서 1900년대의 주요사건 및 사항들에 대한 밀레니엄 우표를 발행하였는데 그 중에서 1950년대 한국전쟁에 관한 것이 포함되었다. 현재로써는 그 장면에 대한 정보가 입수되어 있지않아 소개치 못함을 아쉽게 생각한다.
- miscel.com 우취도서관 자료인용(참고자료 : 대한결핵협회 전단)